행복한 사계절

선수행 실천연구는 관법공부를 근간으로 한마음법을 보다 깊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회원 교육서비스입니다
행복한 사계절은 마음법을 바탕으로 인생의 경계를 그대로 보고 수용하며 자신의 마음을 직시하며 생활에 관계된
모든이들과 소통하며 공명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교육 목적
명상과 상담(학습과 실천병행)을 통해서 어르신들에게 마음법의 가르침이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자신의 마음을 지켜보고 집중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합니다
교육 효과
  • 노년에 대한 긍정적 수용 불교는 인생의 경계를 있는 그대로 보고 수용하는 정견(正見)의 가치관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명을 <노년을 위한 마음공부 프로그램>으로 정한 것은 생로병사의 인생을 자연의 사계절에 비유하여 노년기의 심신의 변화와 삶을 전체적이고 평등한 관점에서 수용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원기왕성한 봄과 여름 같은 젊은 시절만 의미 있거나 아름다운 것이 아니며, 가을과 겨울도 자연현상이며 고유한 의미와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노년의 인생발달단계를 회피하거나 젊게만 살고 싶은 의도를 쉬게 하는 데에 주안점이 있습니다. 나아가 이와 더불어 성숙한 결실의 계절인 노년만의 고유한 가치를 발견하고 진정한 의미와 즐거움을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 명상을 통한 참 자기와의 만남 우리는 대부분 중년까지 바쁘게 사는 동안에는 자신의 마음과 진실하게 만날 수 있는 여유가 없습니다.
    그러나 노년기는 오히려 자신의 마음을 직시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명상실습을 통하여 사계절 변치 않는 참 자기, 내면의 불성과 만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며, 마음공부를 통하여 자기 마음에 대한 깊이 있는 자각하도록 합니다.
    명상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명상이 심신의 건강과 안정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 자기표현과 집단대화를 통한 치유 많은 노인들이 분노가 쌓이고, 화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고 합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집단상담의 기법으로 분노와 외로움, 슬픔 등 살면서 억압했던 감정들을 수용하도록 하며, 내재된 감정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감정이 해소되고 치유되는 효과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명상을 하면서 감정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인생 과정을 회고하며 긍정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자타불이(自他不二)의 관계 경험과 연습 자기중심적인 관점과 고정관념들은 가족, 친지, 기타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입니다.
    노인들은 특히 가족관계에서 소외되거나 외로움을 느끼면서도, 어떻게 풀어가야 할 지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자신이 자기중심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자연스럽게 보게 하고,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는 연습을 하며, 이러한 공감명상을 실습하고 다른 참가자들과 대화하는 과정에서 자비심을 향상시킵니다.